사람은 일생의 1/3이나 되는 많은 시간을 잠을 자면서 지내게 되죠?
잠은 몸의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것은 물론, 생체리듬을 유지해주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 동안 잠을 자는 것은 우리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데요.

그런데 최근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 이런 ‘수면 습관’은 조기 사망 가능성이 32%나 증가한다고 밝혀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 따르면 이 ‘수면 습관’은 하루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각성과 에너지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장기 기억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는데요.
이처럼 효과는 이미 과학적으로 수차례 증명됐지만 지나칠 경우 오히려 건강에 독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수면 습관을 말하는 것일까요?
낮잠

바로 낮잠입니다.
출근하자마자 바쁜 오전 일과를 마치고 점심을 먹고 나면 미친듯이 잠이 쏟아질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점심시간 마저 포기하고 잠을 청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죠? 조금이라도 눈을 붙이면 굉장히 개운해지는 느낌이 들곤 하는데요.
하루 평균 1시간 또는 그 이상 낮잠을 자는 성인의 경우 조기 사망할 가능성이 32%나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낮잠을 자주 자면 폐질환부터 시작해서 기관지염, 폐렴 등의 질병을 앓을 확률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해요.
특히 매일 낮잠을 즐기는 사람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호흡기 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이 2.5배나 높다고 하는데요.
즉, 과도하게 낮잠을 자는 사람은 폐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가 높다고 해요.
폐 질환으로 몸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면 뇌에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자꾸 잠이 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낮잠은 점심을 먹은 직후엔 오후 1시~2시 사이에 20~30분 정도가 적당하다고 하네요.